728x90

RHEL 계열 리눅스에서 유용했던 패키지 관리자 yum 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dnf 사용법을 정리하고자 함.
yum과 사용법이 크게 차이나지 않음.

> dnf list "패키지명"*
> dnf list all
* 패키지 확인

> dnf install "패키지명"
* 패키지 설치

> dnf update
> dnf upgrade
*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 (업그레이드)

> dnf upgrade "패키지명"
* 특정 패키지 업데이트 (업그레이드)

> dnf remove "패키지명"
* 패키지 삭제

> dnf list installed
* 설치된 패키지 확인

> dnf list installed "패키지명"
* 설치된 패키지중 특정 패키지 확인

> dnf list available "패키지명"
* 사용 가능한 패키지중 특정 패키지 확인   

> dnf history list
* dnf 사용기록 리스트

> dnf search "패키지명"
* 특정 패키지명 검색

기본 제공되는 패키지들이 아닌 경우 리포지토리(저장소)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함.
리포지토리를 확인하고, 변경하는 예시를 아래에 작성함.

 

> dnf repolist 
* 설치된 저장소 리스트 확인

** PHP 버전 업그레이드를 예시
> dnf module reset php
* 모듈 상태 초기화

> dnf module list php
* php를 설치할 수 있는 저장소 리스트 확인

> dnf module enable php:remi-8.0
* php를 설치하고자 하는 저장소 활성화

> dnf install php
* 설치시 선택된 php 버전 설치

 

반응형
728x90

리눅스 파일 복사 명령어 cp
서버와 서버간 파일 복사 명령어 scp

# scp <로컬서버 복사할 대상파일or디렉토리> <원격서버 계정>@<원격서버 아이피>:<원격서버 저장할 경로>

# scp ./home/my_file.txt root@123.123.123.123:/home/
# scp <원격서버 계정>@<원격서버 아이피>:<원격서버 복사할 대상파일or디렉토리> <로컬서버 저장할 위치>

# scp -r root@123.123.123.123:/home/ ./home/mydirectory

scp 사용시 유용한 옵션을 소개하자면,

  • -r : 지정한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까지 복사
  • -v : 진행사항 표시
  • -F <설정파일> : 지정한 설정파일을 사용
  • -P <포트> : 지정한 포트로 접속

 

참조 : blog.naver.com/antimidal/80131450823

반응형
728x90

리눅스 CentOs7 버전에 vsftpd를 설치하고, 기본적인 설정은 다음 경로를 참고한다.

https://blog.naver.com/antimidal/221037961485

 

 

1) ftp를 사용하기 위한 계정의 홈디렉토리 이상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은 vsftpd.conf 파일을 다음과 같이 셋팅해야 한다.

chroot_local_user = NO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[최상단 디렉토리를 접속한 유저 홈디렉토리로 제한] 주석 풀고, YES를 NO로 변경

allow_writeable_chroot = YES            - [chroot_local_user 제한 설정할 경우 설정값] 내용 추가

chroot_list_enable = YES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 [chroot_list_file(접속 허용 계정 리스트) 활용 여부] 주석 풀음

chroot_list_file = /etc/vsftpd/chroot_list   - 주석 풀고, 해당 경로에 파일 생성 (접속할 계정의 리스트)

 

 

 

2) 혹시, "디렉터리 목록 조회 실패" 에러가 나오면, 패시브모드 설정을 vsftpd.conf 파일에 추가해야 한다.

#passive mode enable
pasv_min_port=5001
pasv_max_port=5001

 

- 임의의 5001포트로 설정해주고, 해당 방화벽을 열어준다.

 

 

ftp 접속이 정상적으로 잘되면, 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접속하는 sftp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.

위 설정을 아무리 잘해도 계정의 홈디렉토리를 벗어나 root까지도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.

 

3) ssh 설정파일인 /etc/ssh/ssh_config 파일에서 sftp 부분을 주석처리 하고, sshd를 재시작한다.

#subsystem sftp /usr/lib/openssh/sftp-server

      
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