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
RHEL 계열 리눅스에서 유용했던 패키지 관리자 yum 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dnf 사용법을 정리하고자 함.
yum과 사용법이 크게 차이나지 않음.

> dnf list "패키지명"*
> dnf list all
* 패키지 확인

> dnf install "패키지명"
* 패키지 설치

> dnf update
> dnf upgrade
*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 (업그레이드)

> dnf upgrade "패키지명"
* 특정 패키지 업데이트 (업그레이드)

> dnf remove "패키지명"
* 패키지 삭제

> dnf list installed
* 설치된 패키지 확인

> dnf list installed "패키지명"
* 설치된 패키지중 특정 패키지 확인

> dnf list available "패키지명"
* 사용 가능한 패키지중 특정 패키지 확인   

> dnf history list
* dnf 사용기록 리스트

> dnf search "패키지명"
* 특정 패키지명 검색

기본 제공되는 패키지들이 아닌 경우 리포지토리(저장소)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함.
리포지토리를 확인하고, 변경하는 예시를 아래에 작성함.

 

> dnf repolist 
* 설치된 저장소 리스트 확인

** PHP 버전 업그레이드를 예시
> dnf module reset php
* 모듈 상태 초기화

> dnf module list php
* php를 설치할 수 있는 저장소 리스트 확인

> dnf module enable php:remi-8.0
* php를 설치하고자 하는 저장소 활성화

> dnf install php
* 설치시 선택된 php 버전 설치

 

반응형

+ Recent posts